고창석, '김 부장 이야기'에서 김창수 역의 감정 표현 방식은?

고창석, '김 부장 이야기'에서 김창수 역의 감정 표현 방식은?

고창석의 김창수 감정 표현 방식

1) 일상적인 말투 속의 폭발 포인트

  • 고창석은 기본적으로 툭툭 내뱉는 말투, 일상적인 억양을 사용해 김창수를 ‘옆에 있을 것 같은 직장 상사’로 보여줍니다.

  • 하지만 감정선이 터지는 순간(억울함·분노·당황)에는 목소리가 갑자기 커지거나 빨라지는 패턴을 사용해 대비를 크게 만듭니다.

  • → 관객은 “평범한 아저씨가 순간적으로 감정이 무너지는 모습”을 현실적으로 느끼게 됩니다.

2) 코믹함과 진지함의 교차

  • 고창석 특유의 코믹 연기(표정·타이밍)가 인물의 긴장감을 누그러뜨리는 역할을 합니다.

  • 하지만 결정적 장면에서는 코믹 요소를 완전히 빼고, 묵직한 진심을 드러냅니다.

  • → 이 ‘온도차’가 김창수라는 인물의 인간적인 면을 더욱 강조합니다.

3) 눈의 움직임과 입술의 떨림 같은 ‘소소한 디테일’

  • 고창석은 과장된 표정보다는 미세한 표정 변화로 감정의 진폭을 표현합니다.

  • 당황할 때 → 눈동자가 빠르게 흔들리고 입술을 오므렸다 풀었다 반복

  • 불안할 때 → 시선을 피하고 숨을 짧게 들이쉼

  • 억울할 때 → 말 끝이 길어지거나 말수가 줄어듦

  • → 이런 세밀한 변화는 캐릭터의 감정을 현실적으로 보여줍니다.

4) 몸으로 하는 감정 – ‘덩치와 리듬감’ 활용

  • 고창석은 체격을 이용해 어깨 움츠림, 허리 굽힘, 손짓 같은 신체적 리듬으로 감정을 강화합니다.

  • 불편하거나 불안할 때 → 몸을 작게 만들며 웅크림

  • 설득하거나 감정이 올라올 때 → 상체를 앞으로 내밀며 압박

  • → 이런 신체적 표현이 김창수의 ‘생활형 감정선’을 만듭니다.

5) 감정의 ‘과장–절제’ 조절 능력

  • 직장 내 부장이라는 캐릭터 특성상 과하게 화낼 수도 없는 상황이 많습니다.

  • 고창석은 이 억눌린 감정을 “참았다가 터뜨리는” 호흡으로 표현합니다.

  • → 이 ‘참음’이 관객에게 더 큰 공감을 일으킵니다.

종합적으로 말하면…

고창석의 김창수 연기는

생활연기(현실성) + 코믹한 인간미 + 감정 폭발의 대비

이 세 가지를 통해 평범하지만 깊은 감정을 가진 인물을 만들어냅니다.

https://diary4076.tistory.com/

← 목록으로 돌아가기